2024년 기준 중위소득 50-180% 구간 금액과 직접 중위소득 계산 확인방법

2024 중위소득 개인회생/파산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 가구 소득의 중위 금액을 뜻하는데요, 급여 종류별 선정 기준과 생계급여 지급액을 정하는 기준이고, 부양의무자는 부양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어요.

개인회생에서는 따로 알 필요가 없을 것 같지만 매달 월 변제금 산정 기준으로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최저생계비를 계산하고 있으며, 개인회생이나 파산에 대해서 무료 지원 대상이 되고 싶을 때 조건에 기준 중위소득 125% 이하가 되어야 가능합니다.

스폰서 링크

2024년 기준 중위소득 50-180% 구간별 금액

2024년 기준 중위소득을 2023년과 1인 가구를 비교해 보면 약 15만 원정도 인상되었어요. 1년이 지난 후 전체적으로 구간별 올랐는데요, 6인 가구까지의 기준 중위소득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원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50% 1,114,223 1,841,305 2,357,329 2,864,957 3,347,868 3,809,185
80% 1,782,756 2,946,087 3,771,726 4,583,930 5,536,588 6,094,695
100% 2,228,445 3,682,609 4,714,657 5,729,913 6,695,735 7,618,369
120% 2,674,134 4,419,131 5,657,588 6,875,896 8,034,882 9,142,043
150% 3,342,668 5,523,914 7,071,986 8,594,870 10,043,603 11,427,554
180% 4,011,201 6,628,696 8,486,383 10,313,843 12,052,323 13,713,064

위 표에서 기준 중위소득 100%를 기준으로 50%부터 80%, 120%, 150%, 180%까지 바로 계산을 중위소득 금액이므로 바로 참고해 보세요.

기준 중위소득 계산을 직접 해서 %를 알고 싶다면 100%를 기준 금액에서 본인이 원하는 %를 곱해주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예) 1인 가구 중위소득 180% 계산 방법
① 1인 가구 중위소득 100% 금액 2,228,445
② 원하는 중위소득 180% → 계산을 할때는 1/100을 곱하기, 180%*(1/100)=1.8
③ 1인 중위소득 180% 금액 = ① 2,228,445 * ② 1.8 = 4,011,201원

본인이 원하는 % 가 따로 있을 경우는 그만큼 가구 소득에 %를 곱해주면 되니까 어렵지 않게 중위소득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계산 확인방법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기준 중위소득의 정한 금액을 공표하고 있는데요, 이는 가구 경상소득의 중간값에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과 가구 규모에 따른 소득수준의 차이를 반영해서 계산한 거예요. 가구 경상소득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을 합산한 소득을 말합니다.

• 기준 중위소득 = 가구 경상소득 중간값에 최근 가구소득 평균 증가율, 가구 규모에 따른 소득수준의 차이 반영
• 가구 경상소득 =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국민건강보험 확인방법

간편하게 본인의 기준 중위소득이 어느 구간에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확인 방법 중 하나는 국민건강보험에서 보험료 납부 금액을 조회하는 것이에요.

기준 중위소득 건강보험료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로그인 한 후보험료 납부확인서를 눌러서 조회를 하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를 비교하면 가구원수에 따른 소득기준과 건강보험료본인부담금의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등 구체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어요.

복지로 확인방법

좀 더 구체적으로 본인의 소득이나 재산을 입력해서 알아보고 싶다면 복지로 모의계산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로그인 한 후에 ①,②복지서비스의 ③모의계산에서 국민기초 생활보장에 들어가면 됩니다.

중위소득계산 복지로

구체적으로 본인의 기본정보부터 소득, 재산, 의료급여정보까지 입력을 한 후 계산을 하면 기준 중위소득과 비교해서 본인의 구간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복지로 모의계산

다만 복지로의 결과는 모의계산으로 대략적으로 알 수 있는 금액이므로 참고만 하시고, 정확하게 알고 싶은 분들은 복지로 서비스 신청 기관을 통해서 확인하시면 됩니다.